프랑스의 어느 마을에 예수의 대리석 조각상이 
있었다. 
세계대전이 한창이던 어느 날 폭탄이 그 마을 
가까이에 떨어져 그 조각상이 그만 산산 조각이 
나고 말았다. 
전쟁이 끝나고 적군이 물러가자 마을사람들은 
그들이 아끼던 그 조각상의 조각들을 찾아서 
다시 세우기로 했다. 
그 조각상은 미켈란젤로나 베르니니의 작품은
아니었지만 마을 사람들의 삶의 일부였고 무척 
아끼는 것이었다. 
다시 붙여 만든 상처투성이의 예수의 몸체는 
여전히 아름다웠다.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
있었다. 
그 예수 조각상의 양손을 발견할 수가 없었던 
것이다. 
‘손이 없는 그리스도는 
더 이상 그리스도라고 할 수 없어!’
누군가가 그렇게 한탄했다.
‘상처투성이의 손이라도 있어야지
손이 없어서야 어떻게 주님이라고 하겠어? 
새로 조각상을 세우는 수밖에 없어.’ 
그때 어떤 사람이 
한 가지 제안을 했는데 그 제안이 기꺼이 
받아 들여졌다. 
그 제안이라는 것이 조각상의 받침대에 
<나에겐 손이 없지만 당신들에게는 손이 있도다.> 
라고 글을 써 붙이는 것이었다. 
수 년후에 
조각상의 받침대에는 다음과 같이 짧은 시가 
붙여져 있다. 
“내겐 손이 없으나 
오늘 내 일을 행할 너희의 손이 있도다. 
내겐 발이 없으나 
사람들이 옳은 길로 인도할 너희의 발이 있도다.
내겐 입이 없으나 
사람들에게 내가 어떻게 죽었는지 말해 줄 
너희의 입이 있도다. 
이제 내 손을 힘 있게 하소서” 
 
  
댓글 없음:
댓글 쓰기